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한국·요르단 관계

정치·외교 분야

  • 1962.7.26 외교관계 수립 이후 우호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고, 요르단은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도 우리 입장을 꾸준히 지지
  • 요르단은 우리 통일정책의 합리성을 인정하고 통일 문제는 당사국 간 대화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 아래 우리 정부의 통일 노력을 평가하고 남․북한의 유엔 동시가입을 지지
  • Abdullah II 국왕은 즉위한 해인 1999.12월, 2004.7월 및 2008.12월 한국을 방문하였고, 2010.1월 다보스 포럼 계기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
    • 이후 2012.3월 서울핵안보정상회의 계기 및 2015.9월 공식 방한하여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양국간 제분야 협력 논의
    • 2021.5월 환경 분야 주요국 자격으로 P4G 서울 정상회의(비대면)에 초청되어 정상 연설세션(5.30)에 참석

주요 외교관계 일지

  • 1962. 7. 26. 외교관계 수립
  • 1965. 7. 14. 주한 요르단 명예영사관 설치
  • 1970. 5. 12. 주암만 명예총영사관 개관
  • 1975. 3. 31. 주요르단 상주대사관 개설
  • 2011. 2. 8. 주한 요르단 상주대사관 개설

교역

  • 우리나라의 요르단 수출은 2009년 10억 미불을 넘어선 이후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5~16년 요르단 경제 침체, 2020년 코로나 19 여파로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2023년 전년 대비 약 7.7% 감소한 7.58억불을 기록

    우리나라는 2023년 기준 요르단의 11위 수입국가로 요르단 전체 수입의 약 2% 차지

  • 요르단으로부터의 수입은 요르단의 수출산업이 발달되지 않아 수입량은 미미

    2023년 기준 수입액은 전년대비 57.1% 감소한 0.62억불 기록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교역 동향

    • 단위 : US$ 백만,%
    • 주 : ( )는 증감률
    • 자료 : KITA
    우리나라의 대 요르단 교역 동향 - 연도, 수출, 수입, 수지
    연도 수출 수입 수지
    2014 1,383(+5.1) 78(+16.3) 1,305
    2015 849(-38.6) 78(-0.1) 771
    2016 619(-27.0) 49(-36.9) 570
    2017 647(+4.5) 71(+45.9) 576
    2018 520(-19.7) 54(-24.0) 465
    2019 531(2.1) 94(74.0) 437
    2020 469(-11.5) 83(-11.7) 314
    2021 669(+42.5) 107(+27.0) 563
    2022 822(+22.9) 146(+36.6) 676
    2023 758(-7.7) 62(-57.1) 696
    2024 1~9월 405 59 346
  • 우리나라의 요르단 주력 수출품목은 자동차가 압도적이며, 그 외 합성수지, 농약 및 의약품, 자동차 부품 등을 수출

    자동차 수출은 2023년도 전체 수출액의 약 77% 차지

  • 반면, 수입은 요르단의 산업기반이 넓지 않아 기타 석유화학제품과 금속·비금속 광물 등에 집중

지상사 진출 현황

  • KOTRA가 1977년에 무역관을 개설하였고, 2008년 이후 우리 기업 지사, 사무소 진출이 증가
    • 2024년 1월 기준, 요르단에 진출한 국내기업은 10개사이며 건설·플랜트, 가전 판매 등의 분야에서 활동
      2024년 1월 기준, 요르단에 진출한 국내기업은 10개사 - 연번, 기업명, 형태, 업종
      연번 기업명 형태 업종
      1 삼성전자 레반트 법인 가전 판매
      2 LG전자 레반트 법인 가전 판매
      3 [한국전력] Al Qatrana 법인 IPP2 전기 판매
      4 [한국전력] Amman Asia 법인 IPP3 전기 판매
      5 [한국전력] Fujeij Wind Power 법인 풍력 발전
      6 [남부발전] KOSPO Jordan 법인 IPP2 운영(O&M)
      7 [남부발전] Daehan Wind Power 법인 풍력 발전
      8 제일기획 법인 광고·기획
      9 코오롱글로벌 사무소 하수처리시설 건설
      10 한전 KPS 사무소 IPP3 운영(O&M)
  • 현대차, 기아차 등 자동차 업계는 요르단 현지 딜러 체제로 운영 중

협정 체결 현황

  • 1972.11.29 : 무역협정
  • 1977.10.26 : 문화협정
  • 1977.10.26 : 경제, 기술협력 협정
  • 1978.5.14 : 항공협정
  • 2000.11 : EDCF 기본협정
  • 2004.7 : 투자보장협정 및 이중과세방지협정
    • 이중과세방지협정 : 2002.11월 가서명, 2005.3월 발효
    • 투자보장협정 : 2002.9월 가서명, 2004.12월 발효
  • 2005.1 : 관광협력협정 서명 (2005.10월 발효)
  • 2006.3.22 : KOICA 봉사단 파견약정
  • 2008.12 : 원자력협력협정
  • 2009.10 : 국방분야 협력 MOU
  • 2013.12 : 무상원조 기본협정
  • 2014.10 : 항공협정 (개정)
  • 2015.9 : 외교관 사증면제 협정
  • 2016.5 : 군사비밀정보 보호 협정 (2017.2월 발효)
  • 2021.10 : 방산군수협력 MOU

개발협력

무상원조

  • 1991-2023년간 지원 실적 : 총 11,138만불 지원
    • 단위 : 만불
    1991-2023년간 지원 실적 : 총 11,138만불 지원 - 연도, 지원액
    연도 지원액
    '91-'13 3,201
    '14 358
    '15 473
    '16 765
    '17 1,071
    '18 811
    '19 903
    '20 748
    '21 1,342
    '22 776
    '23 (잠정) 690
    11,138
    사업 유형, 사업 내용 (사업기간/지원규모)
    사업 유형 사업 내용 (사업기간/지원규모)
    프로젝트 (16건) 요르단 2개부처 정보화사업('04-'07/118.45만불)
    요르단 보건소 건립사업('04-'07/460.22만불)
    요르단 자르카 직업훈련 역량강화사업('07-'09/327.9만불)
    수질모니터링 시스템 구축('08-'10/281.77만불)
    이르비드 혈액은행 개선사업('08-'10/320.48만불)
    요르단 투자촉진을 위한 전략수립사업('10-'11/105.38만불)
    요르단 에너지 청정개발체제 구축역량강화사업('10-'12/44.04만불)
    요르단 직업훈련원 역량강화사업('10-'14/492.91만불)
    요르단 청각장애 특수학교 건립사업('14-'17/509.77만불)
    요르단 3개 지역 보건소 건립사업('15-'19/495.36만불)
    요르단 시리아 난민 밀집지역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3개 학교 건립사업('17-'22/1,110만불 중 1051.2만불 지원)
    요르단 자르카 기술고등학교 설립사업('17-'22/1,038만불 중 966.35만불 지원)
    요르단 발카대학교 산하 카락 및 이르비드 전문대학의 직업교육훈련 역량강화 사업('20-'24/600만불 중 448.39만불 지원)
    요르단 카락주 파쿠오 지역 노후 상수도 관망 개선사업('20-'24/927만불 중 527.58만불 지원)
    요르단 빅데이터 기반 치안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21-'25/625만불 중 199.61만불 지원)
    요르단 제라시주 마스타바 지역 노후 상수도 관망 개선사업('22-'26/913.1만불 중 71.06만불 지원)
    개발컨설팅 (3건) 요르단 페수처리시설확장타당성조사,세부설계('94-'94/27.27만불)
    요르단 폐수처리시설확장타당성조사,세부설계('95-'96/69.96만불)
    요르단 전자조달 시스템 구축사업('14-'17/756.55만불)
    국제기구협력사업 4건 1125.54만불
    민관협력사업 7건 161.67만불
    봉사단 582명 1,643.69만불
    소규모무상원조 21건 118.88만불
    연수생초청사업 1,003명 776.27만불
    태권도 3명 38.06만불

    2023년도 잠정실적 포함

유상원조

  • EDCF 차관 : 9건, 251.18 백만미불
    유상원조 - 승인연도, 사업명, 승인액 (백만불)
    승인연도 사업명 승인액 (백만불)
    1991 Wadi Es Sir 폐수처리시설 1차사업 10.00
    1996 Madaba시 폐수처리시설 확충사업 9.00
    2004 암만 남부 폐수처리시설 사업 24.00
    2005 나우르 폐수처리사업 20.80
    2008 암만 남부 하수처리 사업(2차) 45.69
    2010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 70.00
    2012 암만 남부 폐수처리시설 사업(보충융자) 28.89
    2014 연구용 원자로 건설사업(보충융자) 12.80
    2016 요르단 나우르 폐수처리사업(보충융자) 30.00